오늘 아침, 오랜만에 스타벅스에 방문했다. 따뜻한 그란데 라테를 주문하며 우유 대신 '두유'를 넣어달라고 요청했다. 친절한 파트너가 쏘이라테에 바닐라 시럽이 3번 펌핑된다고 알려준다. 살이 찔까 걱정이 되는 마음에 2번만 넣어달라고 부탁한다. 그렇게 나온 따뜻한 쏘이라테는 우유로 만든 라테보다 훨씬 맛있다. 약간의 시럽을 넣었는데도 많이 달지 않고 담백하다. 나는 매번 라테를 두유로 변경한다. 700원을 추가해 오트 우유로 바꿀 때도 있지만, 그건 오트 우유의 꾸덕한 맛이 생각날 때만 그렇다. 대부분은 우유보다도 질감이 가벼운 두유로 변경한다. 스타벅스 라테를 두유로 변경했을 때 좋은 점 2가지 때문이다.
첫 번째, 무료 바닐라 시럽
스타벅스에서 라떼를 주문할 때, 우유를 두유로 변경하면 바닐라 시럽을 무료로 추가할 수 있다. 스타벅스에서 사용하는 두유에는 단맛이 거의 없기 때문에 두유로 변경한 경우에만 특별히 이런 서비스가 제공된다. 원래 바닐라라테를 먹으려면 추가 금액을 내야 하는데 말이다. 하지만 달콤한 라떼 말고도 다른 이점이 하나 더 있다.
두 번째, 유당불내증 방지
두유 라테를 마시면 우유를 마셨을 때 속이 부글거리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우유를 마시면 속이 부글거리는 이유는 우유 속에 들어있는 '유당' 때문이다. 우리 몸에는 유당을 분해시키는 '락타아제' 효소가 많지 않기 때문에, 일정 수준 이상을 섭취할 경우 소화가 제대로 되지 않아 속이 부글거리게 된다. 이런 현상을 '유당불내증'이라고 한다.
유당불내증에 특히 약한 한국인?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의 약 70~80%가 유당불내증을 경험한다. 유럽 일부 지역에서는 인구의 90% 이상 유당을 소화시킬 수 있는 것에 비하면 굉장히 낮은 수치다. 대체 왜 한국인들은 특히 유당을 소화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걸까?
과거에는 우유가 그리 흔한 음식이 아니었다. 모유 수유가 끝나면 우유를 마실 일이 별로 없었다. 그러다 보니 대부분의 사람들이 유아기 이후 락타아제 생산량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던 어느 날, 유럽의 목축업이 발달하게 되었다. 덩달아 유제품 생산과 함께 섭취량도 증가했다. 몇 세대를 거치면서 유럽인들 중에는 유당을 소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유전자가 살아남아 널리 퍼지게 되었다.
반면, 한국에서 우유가 흔해진 건 불과 몇십 년 전의 일이다. 한국 식문화에 우유가 대중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건 아마 6.25 전쟁 때 미국에서 구호 물품으로 보내온 탈지 분유가 최초가 아니었을까? 그 이후 한국 사회는 눈부신 풍요를 이룩해 냈지만, 그 속도에 비하면 우리 몸의 적응 속도는 거북이 걸음이다. 한국인들 중 유당불내증을 경험하는 사람이 특히 많은 이유다.
결론
매일 마시는 커피만이라도 두유로 바꿀 때, 우리 몸이 느끼는 편안함은 이루 말할 수 없으리라 본다. 다음에 스타벅스에 가면 꼭 두유로 변경해서 라테를 먹어보는 것은 어떨까? 한번 마셔보면 그 담백한 맛에 빠져들게 될지도 모른다.
- 참고자료 : 알아두면 쓸모 있는 식품과학 이야기, 사이토 가쓰히로
'생활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이 많은 우유, 왜 물과 섞이는 걸까? 콜로이드의 비밀 (0) | 2024.09.26 |
---|---|
캐나다 SMR 기술 개발 및 정책 동향 (5) | 2024.09.26 |
SMR이란? 한국 개발 현황 및 극복해야 할 과제 (6) | 2024.09.25 |
수학은 언어다? 수학이 쉬워지는 학습 방법 (4) | 2024.09.18 |
탄소가 가장 많이 배출되는 산업은? CBAM 도입과 한국 철강 기술 현황 (1) | 2024.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