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CRE 감염 항생제가 듣지 않는 슈퍼 박테리아의 위협

by avec-marie 2025. 1. 25.

CRE 감염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가? CRE 감염은 카바페넴이라는 항생제 내성균으로 인해 발생한다. 말 그대로 '항생제에 강력한 내성'을 가졌기 때문에 치료가 어렵고 사망률이 높다. 그래서 "슈퍼박테리아"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대체 CRE 감염이 정확히 무엇이기에 이렇게 치명적인 걸까? 오늘은 CRE 감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예방 및 치료법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병원에서환자를진료하는의사

CRE 감염이란?

CRE 감염은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속균종(CRE)에 의한 감염이다. 카바페넴은 광범위 항생제로, 다양한 세균 감염 치료에 사용되는데, CRE는 이러한 카바페넴 계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세균이다. 즉, 기존 항생제로는 치료가 어려워 감염 시 사망률이 높고 치료가 복잡하며 의료비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CRE는 주로 대장균이나 클렙시엘라 균과 같은 장내세균속균종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세균들은 평소에는 우리 몸에 해를 끼치지 않지만, 면역력이 약해진 사람에게는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CRE 감염, 왜 문제가 되는가?

CRE 감염은 치료가 어렵고 사망률이 높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이다. 카바페넴은 그람 음성균 감염 치료에 중요한 항생제이지만, CRE는 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므로 치료 옵션이 제한적이다. 항생제 내성은 세균이 항생제의 공격을 막아내거나 무력화시키는 능력을 갖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항생제가 세균을 죽이려고 해도 내성을 가진 세균은 살아남아 계속 번식한다. 즉, 항생제가 전혀 통하지 않아 치료가 어렵게 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CRE 감염은 패혈증, 폐렴, 요로 감염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중환자실이나 면역력이 약한 환자들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최근에는 CRE 감염이 지역사회로 확산되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항생제 내성이 생기는 이유는?

항생제 내성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항생제의 오남용이다. 감기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에 항생제를 사용하거나, 의사의 처방 없이 임의로 항생제를 복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축산업에서 동물의 성장 촉진이나 질병 예방을 위해 항생제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도 문제이다. 이러한 항생제 오남용은 세균이 항생제에 노출되는 빈도를 높여 내성을 가진 세균이 생존하고 확산될 가능성을 높인다.

 

항생제 부작용을 예방하는 가장 쉬운 방법

염증이 생기면 항생제를 처방받는다. 항생제를 너무 많이 사용하면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흔히들 내성이 생겨서 더 많은 항생제를 사용해야 한다고 알고 있다. 거기서 끝이면 얼마나 좋을까?

avec-marie.tistory.com

 

CRE 감염의 증상은?

CRE 감염은 감염 부위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증상이 다양하다. 요로 감염 시에는 배뇨통, 빈뇨, 혈뇨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폐렴의 경우 기침, 가래,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보인다. 패혈증은 발열, 오한, 저혈압, 의식 저하 등의 심각한 증상을 동반한다. CRE 감염은 혈류 감염, 창상 감염, 복막염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CRE 감염은 주로 의료기관 내에서 발생한다. 환자 간의 직접 접촉, 오염된 의료기구, 의료진의 손을 통해 전파될 수 있다. 또한, 장기간 항생제 사용, 면역력 저하, 인공호흡기나 도뇨관 삽입 등의 의료 시술은 CRE 감염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이다.
 

환자를진료하는의사

CRE 감염, 해결방법은?

CRE 감염 치료는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감수성 검사 결과에 따라 CRE에 효과적인 항생제를 선택하여 투여해야 한다. 최근에는 새로운 항생제 개발과 더불어 병용 요법, 박테리오파지 치료 등 다양한 치료법이 연구되고 있다. 병용 요법은 여러 종류의 항생제를 함께 사용하는 방법이고, 박테리오파지 치료는 세균을 잡아먹는 바이러스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새로운 치료법들은 CRE 감염 치료에 새로운 희망을 제시한다.
 
치료보다 중요한 것은 CRE 감염 예방이다. 이을 위해서는 철저한 감염 관리가 필수적이다. 의료기관에서는 감염 관리 지침을 준수하고, 의료진은 손 위생을 철저히 해야 한다. 환자는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개인위생을 관리하고,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프로바이오틱스가 CRE 감염 예방에 효과적일 수 있다고 한다.
 

결론

CRE 감염은 항생제 내성 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를 위해서는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통해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해야 하며, 새로운 치료법 개발을 위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의료기관의 철저한 감염 관리와 개인위생 준수가 중요하며,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은 자제해야 한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HMPV 메타뉴모바이러스 독감 감기와 다른 점은?

최근 뉴스에서 'HMPV'라는 생소한 바이러스 이름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HMPV는 사람 메타뉴모바이러스(Human metapneumovirus)의 약자로, RSV와 마찬가지로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이다.

avec-marie.tistory.com

 


참고자료

  • Kwak, D. S., et al. (2023). "Probiotics as a promising strategy to prevent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olonization and infe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linical Microbiology and Infection.
  • 질병관리청 (2024).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감염증 예방 및 관리 지침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3). Antibiotic resistance threats in the United States, 2019. Atlanta, GA: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DC.
  •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 Antimicrobial resistance: global report on surveillanc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 Magiorakos, A. P., et al. (2012). Multidrug-resistant, extensively drug-resistant and pandrug-resistant bacteria: an international expert proposal for interim standard definitions for acquired resistance. Clinical microbiology and infection, 18(3), 268-281.
반응형